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준명, 유의정, 주세균 작가 전시회

by 웰타임 2023. 2. 25.
반응형

 

 

김준명, 유의정, 주세균 작가의 전시를 보러 갔습니다.

ABOUT
Kim Junmyeong, Yoo Euijeong, Ju Sekyun
전시기획글



이제 여기로 이동

잃어버린 풍경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3명의 도예가의 전시에서 깨끗한 유리 표면과 섬세하고 우아한 문양, 또는
순수한 흰색으로 변할 수 있는 도자기 조각을 찾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 자리에 흩어진 반복과 단절, 차용한 파편들이 있다.


진쥔밍, 류이즈정, 주스쥔
이들은 도자미술의 조형언어를 현대미술 실천의 한 형태로 세심하게 정립한 작가들입니다. 절대 세라믹
현대 도예의 예술적 언어는 가치로 인식되는 전통을 재해석하고 동시대 문화 형식을 반영하는 실험을 통해 발전합니다.
혁신으로 유명합니다.


갤러리밈 M’VOID 기획전

're:site_ceramics'에서는 세 명의 작가가 각기 다른 공간에 놓인 도자기를 각자의 방식으로 분해하여 '지금 여기'의 공간을 만든다.
도자기의 본질에서 균열로(유의정), 인류세의 이미지로(김준명), 일상으로 재배치
사물이 사물로 변형되는 형태(주세균)는 현대미술의 언어로 변형된다.
새로 고치다. 한때 친숙하고 예측 가능한 매체였던 도예는 현대 미술 현장에서 조각, 개념, 설치를 통해 조형적 지평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유의정 작가의 "Clay Poetry"(2022)는 점토와 도예 작품이다.
한국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응축된 작품이다. 갈라진 도자기 접시를 벽에 걸어두는 행위는 도예의 추구이다.
도래한 절대완성의 신화에 대한 질문으로 읽힌다. 균열 현상과 같은 것은 원래 토양의 본질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도예의 기본 형식을 탐구하기 위한 선언문인 것 같다. 2022년 10년 전부터 꾸준히 선보이는 '아티팩트 시리즈'
이 신작들은 동시대 언어로 만들어진 동시대 인공물에 대한 내러티브이다. 전통적인 형태의 백자에서 형광색
치밀하게 계산된 안료와 우연한 효과의 회화적 표현,
위선의 구분 자체가 무의미한 전통적 모델을 차용하는 등 동시대 언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실천의 형태를 보여준다.



 



김준명 화백은 감상의 대상도 아니고 쓸모도 없다.
우리는 의도적으로 값 필드를 피하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듯한 백자 항아리
역설적으로 얽힌 '유약도자기'의 의미는 복제가 늘어날수록 공허해진다. 작가는 "도자기에 관례적으로 부여되는 전통적인 생각의 무게를 가볍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역사적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은 기의를 분해하여 일상어로 번역하는 실험이다. ” 대조적으로, 인류세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설치물은 역사나 과거보다는 "현재"에 관한 것입니다.
시선을 담고 있습니다. 흙과 함께 비닐, 플라스틱 등의 현대문명
그것은 인간의 현실이 생성하는 폐기물 더미인 지층의 단면 구조에 대해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킵니다. 작가
재현, 축적, 일상의 오브제 등의 조형적 실험을 통해 고정되고 제한된 도자의 감각을 탐구한다.
점차 현대 미술 분야로 확장되었습니다.


 


주세균 작가는 장기 프로젝트로 신념과 같은 추상적인 대상을 시각적 구조로 대체하는 작업을 해왔다. "내각 2022-1"과 "밤"
"테이블"(2022)은 히비스커스 꽃의 당초 무늬로 표시됩니다. 찬장에 가지런히 놓인
무궁화 패턴은 파사드 측면, 테이블 표면, 쇼룸 바닥까지 이어져 가족 공동체를 하나로 묶는다.
믿음의 은유가 됩니다. 또 다른 항목 "트랙
Sketch(2018)에서 작가는 전통과 재현의 차이에 주목한다. 인터넷에서
수집된 유물의 이미지를 백자에 재현하는 작업을 통해 전통과 현재, 독창성과 복제, 창작과 차용, 사실과 왜곡 사이의 갈등이 촉발된다. 그는 본질과 실제 지각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 요소를 사유의 근거로 삼아 조형 언어를 완성했다.



 



도자기에서 유래했지만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식별이 필요합니다.
비교할 수 없는 세 작가의 이질성은 명확히 정의될수록 흥미롭다. 급진적인 미학적 실험을 시도할 때마다
그들을 둘러싼 온갖 관습의 세계는 내부에서 무수한 균열을 뚫고 고대 도자기의 본질을 드러냈을 것입니다.
그들이 해체되어야 그들만의 영역이 생길 것이다. 그래서 그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여전히 낯설고 막연하고 불확실한 풍경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세상에는 주어진 길이 아닌 가지 않은 길이 있다
새로운 도로가 많기 때문에 길을 잃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길을 선택할 수 있는 강력한 예술적 힘이 될 수 있습니다.
김현진_갤러리밈 전시기획자




Kim Junmyeong 김준명

2012년 서울예술대학교 미술대학 미술과 졸업
2006 홍익대학교 도예유리학과 졸업, 서울

주요 개인전
2021 Lucky Day, 잡마켓, 서울
2021 Stone and Lettering, 용은미술관, 광주
2020 Territory Sign (투쟁의 증거), 공간형, 서울
2018 참을 수 없는 삶의 무게, 송겐아트큐브, 서울
2018 재현 실패, 김종영미술관, 서울
2017 복잡한 취미, 밈갤러리, 서울
3회


주요 소장처
송은문화재단, 한국도자재단, 영은미술관, 양구백자박물관

작가노트
1. 도자기를 매개로 사물이나 주변 사물의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작품을 개인적인 시선으로 바라본다. 다른 재료와 합치거나 그리는 작업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Thing 또는 Thing은 사회적, 개인적 기억 속에서 상징화되거나 기능화된 것들을 담고 있지만, 나는 그것들을 구별하고 다른 의미로 재해석하고 시각화하려고 노력한다. 또한 도자에 대한 전통적 인식과 역사적 두께를 수평적인 것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시각적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작업에 포함시키려고 노력합니다.

나는 자연, 사물, 개인적인 경험에서 파생된 소외된 상황을 나의 개인적인 상상력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잃어버린 관계를 탈맥락화하고 복원하려고 노력한다. 도자기의 고유성을 복제함으로써 해체되고, 사회적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며, 때로는 매체의 매력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오늘날 다양하고 스펙타클한 이미지의 확산과 함께 개인적으로 안티에이지, 안티모더니즘적인 방향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오래전부터 구체화된 이미지 작업방식이 현대미술에서 갖는 가치에 대해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통과 현대, 예술과 비예술 등 정치적이거나 이데올로기적인 소비라는 도자적 개념에는 예술적 보수주의가 있다. 나는 이러한 전통적으로 고정된 인식을 조금 부드럽게 하려고 노력했다.



2.저는 항상 덜 감정적인 형태의 사물, 주변 풍경, 일상 활동, 미디어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및 미디어 속성에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조형적인 작품이기 때문에 내러티브가 전제되지 않기 때문에 작품 자체의 조형적 성격과 오브제로서의 기능, 개인적인 사유로 기존 형식을 재구성하는 방식에 관심을 갖는다. 내용면에서 우리는 전통, 역사, 관습, 형식 등 우리 세계를 구성하는 친숙한 질서를 끊임없이 재정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우리가 도자 작품을 볼 때 시선 이면에는 여러 맥락이 작용하고 있는데, 이 시선이 "이미 도자라는 매체에 담겨있다"는 점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맥락에 의문을 제기한다. 나는 맥락과 동시대성의 관계에 주목하고, 우리가 감상하는 데 익숙한 도예의 형식적 영감과 거리를 두기 위해 도자를 매체로 삼고자 한다. 기존의 도예적 맥락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그 태도에서 현대 도예가의 입장을 반영한다.

도자기의 맥락을 차용하여 익숙한 것의 재해석을 제안함으로써 도자 매체의 긴 호흡을 차단하거나 질서를 전복시키려는 시도이다. 이때 나는 더 이상 무조건적인 일탈자가 아니라 과거와 현재, 전통과 현대, 현실과 이상, 예술가와 노동자 사이의 틈에 머물며 서로 다른 요소들 사이의 대화를 시도한다. 세상의 일상, 삶, 현장을 경청하여 드러나지 않는 삶과 사물, 소리, 공간, 장소를 이해합니다.




수평형 역사도자 시리즈 - 노트

작업은 과거와 공존하면서 동시에 미래로 변해가는 막연하게 중첩되는 현재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된다. 현대인의 책임 중 하나는 과거를 반성하고 현재를 살며 미래를 건설하는 것입니다. 사물의 형태와 기능이 제공하는 단서는 중요한 도움이 된다. 개인의 감정이나 사연, 사회·문화적 배경, 계급, 취미, 취향, 구체적인 이력 등 항목 이면에는 많은 정보가 담겨 있다. 그 중 도자기는 복잡한 층을 관찰하는 척도로서의 기능에 충실하며 모든 것이 변한 오늘날에도 여전히 같은 방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나는 결코 같을 수 없는 전통으로 회귀하려는 본능과 복사된 과거의 미감이 이용되는 아이러니한 현상에 주목한다. 존재하지 않는 독창성에 대한 그리움은 주조를 통해 무한히 생산되고, 자르고 붙이고 재구성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조각적 형태로 변형된다. 틀에서 같은 모양의 도자기를 복제하여 사용하면서 틀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세상에 하나뿐인 도자기에 대한 욕망, 그리고 당시 고급예술의 폐쇄적 틀의 확장.

때로는 수천년 된 미적 인식의 문제가 뿌리 내리고 있음을 느낍니다. 나는 이미 실패를 예측/예상함으로써 이러한 믿음을 없애고 싶다.




Yoo Euijeong 유의정

2018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도예전공), 졸업
2010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예과 석사, 졸업
2006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도예·유리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21 색상가면, galleryCNK, 대구
2018 금은보화-일상에서 찾은 보물들, galleryROYAL, 서울
2016 Imagery & Figuration, galleryPURPLE, 남양주
2016 수복강녕, 한독의약박물관 생명갤러리, 음성
2016 Float-ing, CJAS(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2015 The Skin of Desire, 갤러리 Koo, 서울
     외 3회

주요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대구시립미술관, OCI미술관, 한독의약박물관, 한향림현대도자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 서울신문사, 빅토리아 & 앨버트 미술관(영국), 중국상위박물관(중국), 노르웨이 국립장식예술박물관(노르웨이)

작가 노트
상징의 언어와 상상의 구조 근대화와 함께 시작된 자연주의적 사고 속에서 인간은 ‘현실 세계’에 기반한 기술과 도구의 고도화로 삶의 효율성이 극대화 되었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합리적 사고로의 이행이 오히려 상상의 범위를 ‘현실’이라는 제한된 세계 속에 가두게 된 건 아 닌지 반문하며, 오랜 인류로부터 전승되어 온 가치 있는 것들 속에 담긴 ‘또 하나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그동안 잃어버린 상 징의 언어와 상상의 체계에 대해 탐구해 오고 있다. 그중 가장 오래된 조형예술이라 할 수 있는 도자기는 기나긴 역사의 과정 속에서 다듬어진 조형 언어와 상상의 구조가 담겨 있다. 이는 사회적, 문화적 인식들을 입체화할 수 있는 지도로 작동하여, 은유와 상징으로 가득 차 있는 도자예술의 조형 체계 을 이해함으로써 비로소 지금 내가 사용해야 할 동시대 예술의 언어로 응축된 잠재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메타버스 Metaverse 아이러니하게도 작금의 현실은 실재의 세계로부터 벗어난 상상의 세계를 구상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받고 있다. 현실 세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기대와 상상으로 새로운 가치를 열어가기 위해 그동안 억제되어 왔던 우리의 잃어버린 능력을 다시금 일깨워야 할 시기가 도래하였다. 새로운 도자예술 도자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으로부터 시작된 내 작업의 여정은 필연 박물관에서 출발해 내가 지금 머물고 있 는 현실의 세계에 이르게 되었다. 나의 도자기는 익숙하지만 확신할 수 없는 기호와 상징들을 통해 실재와 비-실재, 물질과 비물질의 세계가 뒤섞인 채 인식의 틈새에 자리한다. 남겨진 유물이 지나온 시간에 대한 증거라면, 나의 도자기는 다시금 우 리가 공유해야 할 것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시간의 축적으로 만들어진 이념적 세계의 기호들이 현실의 언어로 공유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나의 이러한 연구 과정 을 도공의 기술과 예술가적 상상력을 더해 현대 도자예술의 조형 언어로 풀어내고자 한다.


Ju Sekyun주세균


2011 국민대학교 3D아트 대학원, 서울
2008년 국민대학교 3D아트학과 졸업, 서울

주요 개인전
2021 Closer, Closer, 그로브 아트 스페이스, 서울
2020 노셔널 플래그 #5-B, Chapter to Yard, 서울
2019 Notional Flag #5-A, Chapter 2, 서울
2016 우연의 일치, Meme Gallery, 서울
2015 인테리어, OCI 미술관, 서울
2014 WHEEL THE WORLD, Makeshop Art Space, 파주
3회



주요 소장처
미술은행, 우란문화재단, 경기도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OCI미술관, 메이크샵 아트 스페이스
빅토리아 알버트 뮤지엄(영국), 대영박물관(영국)

작가노트
<저녁식탁>

작업 초반에 던진 "믿음은 어디에서 오는가?"라는 질문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래서 나는 내 믿음의 뿌리에 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여러 곳에서 다양한 신앙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 마주하는 소소한 인간관계와 뉴스를 통해 접하는 낯선 사건들은 다양한 믿음을 확인시켜주며 늘 긴장과 갈등을 안겨준다. 내 기준과 정의가 다른 생명에 의해 위협받을까 봐 두려운 질문일까요? 반면에 다른 신앙을 만나는 중간 지점에서 파괴와 재건을 반복적으로 경험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개인이나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믿음의 추상적인 가정은 항상 불연속적이고 변경 가능합니다. 그 안에서 우리는 작은 선택의 새로운 세상을 준비합니다. 변화하는 움직임은 중간 영역에서 시작됩니다. 타협과 화해의 공간입니다.


나는 저녁 시간을 중간 또는 중요한 커널 공간으로 봅니다. 부모와 자식의 식탁은 단절된 관계를 확인하고 수선하는 공간이다. 떨어져 사는 기간으로 인해 늘어난 거리를 인정하고 양보와 화해를 나누는 식탁의 중간지대를 만들 수 있다.

<Dinner>(2015)는 우리 가족의 일상을 이야기한다. 명절에 가끔 만나는 가족의 만찬은 사회생활에서 잊고 지내던 옛 감각의 맛과 향을 떠올리게 한다. 가족은 과거의 변화를 경험하고 공유합니다. 가족은 배려, 근면, 정의, 신뢰, 헌신, 성실, 정직, 노력, 열정, 존경, 결단, 도전을 상징하는 요리와 음식을 통해 공존하는 일체감을 형성합니다. 이 완충지대를 통해서 가족들은 새로운 사회를 접하고 회심을 준비하게 된다.

이번 전시를 위해 새롭게 준비한<Cupboard 2022-1> (2022) 및<Dinner Table> (2022) 계속<Dinner> 에 생각. 식탁에 나타나는 믿음의 형태를 표현하기 위해 하이비스커스 꽃 문양을 사용하였습니다. 새롭게 디자인된 히비스커스 꽃의 아라베스크는 그릇의 가장자리, 테이블 표면, 바닥에 떨어지는 가루에서 나타납니다.<Cupboard 2022-1> 접시의 눈에 띄지 않는 측면에 초점을 맞춥니다. 접시가 아닌 구조물로 보여지길 바란다. 매달린 판은 집을 지탱하는 보이지 않는 수평 구조인 기둥이 된다. 통과하다<Dinner Table> 탁자 표면에 새겨진 무궁화 문양의 움푹 들어간 곳에 먼지, 소리, 냄새, 시간, 이 모든 영혼의 파편들이 쌓여 있다. 누군가는 불편을 치우고 정리할 것이고, 누군가는 두고 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울 수 없는 구석의 흔적들은 굳어지고 믿음의 패턴이 된다.


<트레이싱 드로잉>
내가 현실에서 목격한 많은 사건들은 그동안 내가 연구하고 연구했던 다양한 기준들의 정보를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모든 것이 의심스러운 이 사회에서 '의미'는 흐르고, '정의'에는 기준이 없는 것 같다. 정확히 언제인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기존의 '기준'의 '지혜'와 '현실'의 '현상'이 접점으로 거의 교차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곤 했다.

작품은 의미의 경계나 경계 사이에 존재하는 기준과 정의의 불안정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한다. 정보가 부족하면 상상으로 디테일을 채우고 정보가 너무 많으면 '양보'와 '협상'으로 통제한다.

국보와 도자기의 이미지를 연필로 도자기에 전사한 작품이다. 온라인에서 저급한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백자를 제작했습니다. 그러면 도기의 원형 위에 평면적인 이미지가 그려지고, 어느 각도에서 보느냐에 따라 도기는 전혀 다른 조각에 그려진 것처럼 보인다. 또한 같은 유물을 다른 이미지로 찍어서 작품에서 서로 조합하는 것도

의 작품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 온 기본 방식이다. 이 모든 단계에서 조정 프로세스가 필요합니다. 평면 이미지를 입체에 담을 때 두 이미지가 입체에서 만나면 일관된 과정이 필요하다. 이미지의 교차점과 작가의 직관을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상상력으로 이미지의 빈틈을 메워 도자기 표면에 연필 드로잉을 만들어낸다.

 

김준명_유의정_주세균 작품1
김준명_유의정_주세균 작품1

 

 

 

 

 

 

 

 

 

김준명_유의정_주세균 작품2
김준명_유의정_주세균 작품2

 

 

 

 

 

 

 

 

 

 

 

김준명_유의정_주세균 작품3
김준명_유의정_주세균 작품3

 

 

 

 

 

 

 

 

 

 

 

김준명_유의정_주세균 작품4
김준명_유의정_주세균 작품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