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경하 작가 전시

by 웰타임 2023. 2. 23.
반응형

 

 

이경하 작가의 전시를 보러 갔습니다.


작가노트

처음에는 먼 거리에서 자연을 관찰했습니다.

네팔의 눈 덮인 산은 내 마음에 가장 먼 곳이고 가장 가까운 곳은 온갖 일상, 아스팔트 바닥, 콘크리트, 플라스틱입니다.

내 마음의 고민이 이해하기 어려울 때마다 닿을 수 없는 유토피아처럼 얼어붙은 먼 산이 떠오른다 나는 이 먼 산을 가까이 있는 것들과 함께 놓아 그림 속에서 나 자신의 삶을 찾으려 한다. 나를 위한..

자연은 영원한 환생 속에서 변함없는 모습으로 존재하고, 그 광활한 자연 위에 인간은 먼지처럼 나약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긴 시간이 흐르고 혼란스러운 일상 속에서 실상을 하나씩 치워야 했던 내 시선은 에베레스트 같은 저 멀리에서 발밑의 잡초, 돌, 낙엽, 싹으로 옮겨갔다. .

순환이라는 단어로 압축된 자연의 변화는 나의 일상을 지배하는 요인이 되었고, 나의 일상과 가장 가깝고 직접적인 반응을 보인다.

발밑의 대자연을 바라봅니다. 나는 매일 숲과 호숫가, 도시의 아스팔트와 보도블록을 지나 발밑의 땅을 내려다본다.

땅을 바라보는 습관이 길러져 보도의 돌 사이 잡초도 보이고, 깊은 숲 속 돌 사이 작은 모래알까지 보인다.

봄이 되면 묵은 잎 사이로 새순과 어린 잎이 돋아나고 나무에서 떨어지는 꽃을 구경하느라 바빴습니다.


다양한 나무에서 떨어지는 다양한 색상과 모양의 잎과 열매, 가지가 지면에 임의로 조화되어 미학적으로 완전하고 아름다운 구도를 이룬다.

둥글고, 뾰족하고, 길고, 납작한 잎은 저마다의 모양과 색을 자랑하며, 긴 가지, 짧은 가지, 굽은 가지, 작은 열매는 땅의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완벽한 아름다움을 선사합니다. 내기.

자연이 만들어낸 구도는 어느 각도에서 봐도 새롭고 아름답다.

유한한 사물을 탁자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삶의 덧없음'을 보여주는 네덜란드 정물화를 떠올리게 한다.

작가의 감각이나 습관의 배열보다는 중력과 바람에 의해 놓여진 낙엽, 열매, 돌, 나뭇가지의 색과 배열의 완성도, 그것들의 덧없는 생명력이 네덜란드적 의미인 삶의 회화보다 몇 배 더 중요하다. . 수명주기 테마를 꽤 잘 다룰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큰 산을 오르내리거나 내려가는 사람들을 그리면 나도 모르게 산에 들어왔음을 깨닫는다. 산은 멀고 어둡고 거대한 물체가 아니라 내가 숨 쉬는 공기이자 내 몸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땅이다. 이 땅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완벽하고 아름다운 것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2023년 1월 이경하



아래는 이경하 작가님 같은 극사실주의 설명입니다.

<극사실주의>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등장한 새로운 예술 경향으로 현실을 완벽하게 묘사하는 방식입니다.

포토리얼리즘과 장 보드리야르의 철학을 기반으로 한 예술적 경향입니다.

나는 사진이나 실물처럼 그림에 초현실적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확대했을 때 흐리거나 깨진 사진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실적인 페인팅 스타일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다른 예술가는 다른 재료를 사용하고 때로는 실제 물체, 상상 또는 아이디어에서 그림을 그리지만 일반적으로 사진에서 그림을 그립니다. 마찬가지로 살짝 움직이거나 빛의 방향을 바꾸면 그리기 어려워집니다. 

그 상태에서 그림을 그리면 완성된 작품은 초현실적이기보다는 창의적인 효과를 낼 것이다.

그들은 종종 "Realistic Paintings"라는 제목으로 YouTube 및 소셜 미디어에서 유포됩니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극사실주의와 사진이 "사실적인" 그림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결국 사실주의는 예술가에게 주관적이라는 것입니다. 

그대로 찍은 사진은 사실 작가의 의도에 따라 무수히 많은 결과와 느낌을 줄 수 있지만, 이는 조명과 셔터 타이밍일 뿐이고 포토리얼리즘 역시 작가의 주관적 개입 과정에서 '현실'의 재현입니다. 

실생활에서 우리가 보는 것은 종종 초현실적인 그림만큼 다채롭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일부 비평가들은 초현실주의에 철학적 의미도 있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가 시뮬레이션이라고 부르는 것을 인용하여 가상 그림이 현실보다 더 현실적이고 매력적이며 현대 사회의 사회적 조건을 더 잘 대표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럴듯한 상황을 연출함으로써 관객은 이 현대적 상황의 아이러니를 느끼게 된다.

이 초현실주의가 "복사 및 그리기"와 어떻게 다른지 고려하십시오.

초현실주의는 사진이 등장한 20세기 예술계의 경향(모더니즘)과 정반대이다. 

한편 현대미술계에서도 의구심의 목소리가 많다. 우선 이것은 당연하지만 현실을 충실히 재현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초현실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보다 사진을 찍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쉽다.

혹자는 사진과 다르고, 작가의 노고(혹은 노고, 예술의 혼)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을 담고 있다고 말하지만, 사진과 초현실주의는 원근법에서 피할 수 없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초현실주의와 동시대 미술 패러다임의 직접적인 모순은 작가의 개성에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에 있다. 현대미술의 패러다임은 전에 없던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이미 한 것을 베끼는 것은 금전적 이익을 위한 상업적 예술입니다. 그런 점에서 하이퍼리얼리즘 자체가 앞서 언급한 동시대 미술의 주요 경향에 대한 반대의 표현이었다는 해석도 있다.

나는 그림을 보고 그림을 그리거나 실제 사물이나 사람을 보고 그림을 그리기 때문에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환상이나 사물을 그릴 때 '사실주의'를 '초현실주의'로 대체할 수는 없다. 

소설과 상상의 표현은 "사실주의"로 제한됩니다. 정확히 말하면 초현실적으로 그릴 수 있지만 실체가 없기 때문에 내용적으로 초현실적일 수는 없다.

미술비평을 넘어 살아있는 백과사전이 된 초현실주의 회화가 필요한 분야가 있다. 초점 흐림 없이 생물을 촬영하는 것은 제한적이며 색상이나 질감을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수생 생물, 새와 짐승 및 기타 경계하는 동물의 경우 클로즈업도 어렵고 렌즈로 인한 왜곡이 불가피합니다. 

가고 싶은 곳을 가기가 더 어렵습니다.

그러나 회화는 여러 장의 사진, 영상, 박제, 모피 등 실제 사물을 참고하여 정확하고 의도된 그래픽을 그릴 수 있다. 

물론 생물뿐 아니라 전자제품이나 자동차도 사진보다 더 사실적으로 보일 수 있다. 

멸종된 생물도 칠할 수 있습니다. 

예술을 감상하는 일반 대중에게는 진입장벽이 낮다. 

그림은 실제로 무언가를 그리는 것이기 때문에 그림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이해하기 쉽습니다.

몇몇 예술가들은 또한 주로 인물의 초현실주의 조각품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목표는 인간처럼 보이지만 인간이 아니기 때문에 독특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

참고로 이 이야기의 진위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고대 그리스의 두 화가 제욱시스와 팔라시우스의 일화와 비슷하다. 원래 사랑의 라이벌이었던 두 사람은 어느 날 그림 대회를 하게 된다.

Zeuxis가 그린 포도는 너무 사실적이어서 새도 쪼아 먹고 싶어합니다.

문을 열려고 했지만 커튼까지 닫혀 있었다. 이 사진을 보고 그것을 열려고 했을 때, 나는 내가 용서할 수 없는 속임을 당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Alexander III가 가장 좋아하는 화가 Apelles에게도 비슷한 이야기가 일어났습니다. 

그의 말 그림은 너무 사실적이어서 실제 종마가 그에게 다가와 짝짓기를 시도했습니다.

한국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는데, 신라 화가 송수(연도 미상)가 황룡사 담장에 소나무를 그렸는데, 매우 사실적이지만 날아갈 때 새들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삼국사기에는 새가 날기를 멈춘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원이 불타버렸기 때문에 진위 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새들이 인간처럼 그림과 현실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믿을 수 없는 이야기는 아니다.

실생활에서도 새들은 종종 그림이나 사진을 보고, 그것을 텅 빈 풍경으로 착각하고, 급습하고, 머리를 부딪치고, 기절하거나 죽습니다. 뉴스에 새 한 마리가 나무를 반사 유리창에 박아 죽인 사건이 있습니다.

또 다른 예는 농촌 지역에 허수아비가 세워진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새 중에서 까치와 같은 영리한 새는 허수아비를 꿰뚫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Hualong Zhengjing과 같은 고대 관용구에 묘사 된 그림이 이와 유사하다고 추측되지만 실제 그림이 존재하는지 실제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눈을 속일 만큼 상세하거나 얼핏 보기에 실제인 것처럼 착각하기 쉬운 그림을 흔히 "Trompe L'œil"('Trick-of-the-eye') 그림이라고 합니다.

우리말로 '눈을 속이는 그림'이라는 뜻이다. 어쨌든 그것들은 현대 초현실주의와 유사한 고대 예술계의 경향을 암시하는 일화일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는 극사실주의 그림이 아니더라도 대상의 특성을 잘 포착할 수 있다면 극사실주의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상치 못하게 현실을 반영할 때 초현실주의라고도 한다.



이경하 작품1
이경하 작품1

 

 

 

 

 

 

 

 

 

 

이경하 작품2
이경하 작품2

 

 

 

 

 

 

 

 

 

 

 

이경하 작품3
이경하 작품3

 

 

 

 

 

 

 

 

 

 

 

이경하 작품4
이경하 작품4

 

반응형

댓글